민속,문화유적(자료모음)

수덕사(修德寺)

푸르미르(청룡) 2019. 5. 6. 18:58


2019년 5월 2일(목요일) 날씨 맑음


인적 없는 수덕사에 밤은 깊은데 흐느끼는 여승의 외로운 그림자------

속세에 두고 온 임 잊을 수 없어 법당에 촛불 켜고 홀로 울적에

아---수덕사의 쇠북이 운다!!


송춘희씨의 수덕사의 여승 노래로  더 많이 알려지 게 된 수덕사!!


대천에서 참전단체 단합대회를 마치고 상경하는 길에 수덕사를 탐방하게 되어 대웅전까지 돌아 보게 되었다. 누구나 그렇듯 수덕사에 여승(비구니)이 궁금하겠지만 노래는 노래일 뿐 여승은 없다고 한다. 10여 년 전 인근 용봉산 등산을 왔다 건강원 홍보차 이곳에 왔지만 그때는 약(보신약)만 선전할 뿐 시간이 없어서 그냥 지나쳤는데 이 번엔 단체로 갔어도 시간이 넉넉하여 대웅전까지 보게 되었다.


주차장 옆에서 수덕사 입구에 기념품과 먹자골목이 형성되어 있다.




매표소 입구에 일주문


오줌싸개
옛날 어린이들은 아니 우리들 어릴 적에는 밤에 자면서 오줌을 싸는 아이들이 많았다. 그래서 오줌을 싸면 猖披(창피)를 줘서 안 싸게 하려고 키를 씌워 마을에 가서 소금을 받아 오라고 내 보낸다. 그러면 안 갈 수도 없고 마을에 가서 소금을 달라고 하면 아줌마는 미리 알고 소금을 뿌리며 오줌싸개라고 놀려 준다. 猖披(창피) 해 울면서 집으로 오면 그다음부터는 그 창피를 안 겪으려고 오줌을 안 싼다고 하여 이렇게 키를 씌워 소금 받아 오라는 풍습이 있었다.




德崇山修德寺(덕숭산수덕사)


만첩 개벚나무꽃




金剛門(금강문)


四天王門(사천왕문)



黃河精樓修德寺(황하정루수덕사)


칠층석탑



黃河精樓修德寺(황하정루수덕사)


포대화상




대웅전




관음전



진달래




玉梅(옥매)




대웅전






황하정루


황하정루수덕사







잡귀를 막아 주는 사천왕



금강문





오줌싸개


수덕사 매표소



수덕사[修德寺]

소재지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수덕사 안길79(사천리 20) 

 

문헌으로 남아 있는 기록은 없지만, 백제 위덕왕(威德王:554~597) 때 고승 지명이 처음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제30대 왕 무왕(武王) 때 혜현(惠顯)이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을 강설하여 이름이 높았으며, 고려 제31대 왕 공민왕 때 나옹(懶翁:혜근)이 중수하였다. 일설에는 599년(신라 진평왕 21)에 지명(智命)이 창건하고 원효(元曉)가 중수하였다고도 전한다. 조선시대 제26대 왕 고종(高宗) 2년(1865)에 만공(滿空)이 중창한 후로 선종(禪宗) 유일의 근본도량으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수덕사 대웅전은 국내에 현존하는 목조건물 가운데 봉정사 극락전(鳳停寺極樂殿, 국보 15))과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浮石寺無量壽殿, 국보 18)에 이어 오래된 건축물로서 국보 제49호로 지정되어 있다. 대웅전 양 옆에는 승려들의 수도장인 백련당(白蓮堂)과 청련당(靑蓮堂)이 있고, 앞에는 조인정사(祖印精舍)와 3층석탑(충남유형문화재 103)이 있다. 그리고 1,020계단을 따라 미륵불입상(彌勒佛立像)·만공탑·금선대(金仙臺)·진영각(眞影閣) 등이 있고, 그 위에 만공이 참선도량으로 세운 정혜사(定慧寺)가 있다.


부속 암자로 비구니들의 참선도량인 견성암(見性庵)과 비구니 김일엽(金一葉)이 기거했던 환희대(歡喜臺)가 있으며, 선수암(善修庵)·극락암 등이 주변에 산재해 있다. 특히 견성암에는 비구니들이 참선 정진하는 덕숭총림(德崇叢林)이 설립되어 있다. 그밖에 주요 문화재로는 수덕사노사나불괘불탱(보물 1263),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보물 1381), 수덕사칠층석탑(충남문화재자료 181), 수덕사유물(거문고, 충남문화재자료 192), 수덕사 소장 소조불상좌상(충남문화재자료 384) 등이 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수덕사 [修德寺] (두산백과)


'민속,문화유적(자료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한산성과 주변 풍경  (0) 2020.02.02
영릉(寧陵)효종,인선왕후) 참배  (0) 2019.06.16
청명[淸明]과 한식[寒食]  (0) 2019.03.30
春分(춘분)  (0) 2019.03.20
忌祭祀(기제사) 지내는 순서  (0) 2019.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