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문화유적(자료모음)

영릉(寧陵)효종,인선왕후) 참배

푸르미르(청룡) 2019. 6. 16. 15:34


날짜 : 2019년 6월 14일(토요일) 날씨 : 맑음
연세가 93세로 연로하시고 고관절 수술로 인하여 거동이 불편하셔서 바깥출입이 자유롭지 않아 휠체어를 이용하셔야 하지만 딸들의 제안으로 나들이를 동의하셔서 숲이 많고 역사의 얼이 담긴 왕릉과 명성황후 생가가 있는 여주에서 만나 영릉을 탐방하였다.


그런데 아뿔싸 공사로 인하여 英陵(영릉 세종대왕릉)의 관람이 제한되어 寧陵(영릉, 효종대왕릉) 입구에 주차를 하고 효종대릉을 탐방 후 '왕의 숲길' 약 700m 거리인 고갯길을 휠체어를 밀고 넘어가느라 힘도들고 위험했습니다. 공사기간 동안에는 휠체어 탐방은 절대로 삼가 세종대왕릉은 가봐야 폐쇄되어 고생만 하니까 다음에 가실 것을 권장합니다.


                                                                                               ※사진을 클릭하면 원본을 볼 수 있습니다.




여주역에서 관광순환버스를 타면 환승도 되어 여주 관광할 수 있습니다.



시내버스도 자주 다닙니다.












































[영릉(寧陵)]

 * 효종대왕과 인선왕후의 묘, 효종대왕릉
 영릉(寧陵)은 17대 효종(재위 1649∼1659)과 부인 인선왕후(1618∼1674)의 무덤이다. 처음엔 건원릉의 서쪽에 있었으나 석물에 틈이 생겨 현종 14년 (1673)에 여주 영릉 동쪽으로 옮겼다. 영릉은 왕릉과 왕비릉을 좌우로 나란히 하지 않고 아래·위로 만든 쌍릉 형식을 취하고 있다. 풍수지리에 의한 이런 쌍릉 형식은 조선왕릉 중 최초의 형태이고, 경종과 선의왕후의 무덤인 의릉(懿陵)도 이런 형태를 띠고 있다.


 * 효종대왕릉의 형태
 조선왕조 왕의 무덤배치에 하나의 전환기가 된 형태로 무덤에는 병석을 세우지 않았으며, 왕릉 바깥쪽으로 나지막한 담을 쌓았고, 봉분을 감싸고 12칸의 난간석을 설치하였다. 돌 난간의 기둥 사이를 받치는 동자석(童子石)에는 십이방위 문자를 새겼다. 조선시대 왕릉의 형태를 보면 세조 때부터 병풍석을 세우지 않는 전통이 있었으나, 성종의 무덤인 선릉(宣陵)부터 십이지신상을 새긴 병석을 설치하면서 다시 시작되었다. 하지만 영릉(寧陵)에서 다시 사라져 왕릉 배치에 있어 또 하나의 전기가 되었다. 능에 갖추어진 석물은 석양(石羊)·석호(石虎) 각 2쌍, 상석 1좌, 망주석 1쌍, 문인석·석마(石馬) 각 1쌍, 장명등 1좌
, 무인석·석마 각 1쌍이다. 왕비릉에는 곡장만 없을 뿐 다른 배치는 왕릉과 똑같이 구성되어 있다.


 * 대동법과 상평통보, 효종에 대하여
 효종은 인조의 둘째 아들로 1619년(광해군 11) 5월 22일 태어나 1626년(인조 4) 봉림대군에 봉해지고,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으로 형인 소현세자와 함께 인질로 8년간이나 청나라 심양에 볼모로 잡혀가 있었다. 그 후 풀려 나와서 1646년(인조 23) 소현 세자가 변사하자 뒤를 이어 왕세자에 책봉되고 1649년(인조 27) 5월 13일 창덕궁 인정문에서 즉위하였다. 효종은 즉위 후 대동법을 실시하고 상평통보를 주조하여 화폐를 널리 보급하였다. 조선왕조가 당한 굴욕을 씻고자 청나라 정벌을 계획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1659년 5월 4일 재위 10년 만에 창덕궁 대조전에서 승하하였다.



[세종대왕릉 관람 및 통행제한 안내 : 영녕릉유적정비사업 공사구역 확대]
- 제한기간 : 2017.11.1~2018.12.31 / 14개월간
- 제한구역 : 세종대왕릉 전역(능침공간만 제한적으로 관람)
- 관람구역 : 세종대왕릉 능침, 효종대왕릉, 세종대왕역사문화관
- 관람료 : 무료입장


이용안내

이용시간

2~5월, 9~10월 09:00~18:00
6~8월 09:00~18:30
11~1월 09:00~17:30

 ※ 매표는 관람마감 1시간 전까지 가능


쉬는날

매주 월요일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여주 영릉(英陵)세종대왕)과 영릉(寧陵)효종,인선왕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민속,문화유적(자료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밝이 술 (耳明酒)  (0) 2022.02.15
남한산성과 주변 풍경  (0) 2020.02.02
수덕사(修德寺)  (0) 2019.05.06
청명[淸明]과 한식[寒食]  (0) 2019.03.30
春分(춘분)  (0) 2019.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