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탐사 & 야생화(꽃사진) 263

산국(山菊) 과 감국 (甘菊)

학명 : Dendranthema boreale (Makino) Ling ex Kitam.분포 : 한국, 일본, 중국(북부), 시베리아산국(약 1.5㎝)은 요즘 나오는 새 10원짜리, 감국(약 2.5㎝)은 500원짜리 동전 크기이기 때문에 100원짜리를 대보아 이보다 작으면 산국, 크면 감국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잎이 감국은 좀 두껍고 둥글게 보이는 편이고, 산국은 얇고 톱니가 날카롭게 보인다.특징은 일반적으로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들을 대개는 들국화라고 부르고 있으나 실제로는 그런 이름을 가진 식물은 없다. 들국화란 이름은 가을에 피는 국화과의 야생화들을 통칭하여 부르는 이름이다. 가을이 되면 찬바람이 이는 쓸쓸한 산기슭이나 들에 노랗게 피어 국화향기를 짙게 내뿜는 꽃이 바로 산국이다.꽃은 9-10월에 ..

주름잎

주름잎학명 : Mazus pumilus (Burm.f.) Steenis 별명 : Asian mazus, Japanese mazus, トキワハゼ, 通泉草, 고초풀, 담배깡랭이, 담배풀, 선담배풀, 논둑이나 밭에서 자라는 현삼과의 한해살이풀. 높이 5~20cm. 전체에 털이 있고 밑에서 줄기가 밀생한다. 3~11월 개화. 어린잎은 식용한다.  ‘쎄빠진다’라는 표현이 있다. 이 말은 ‘혀 빠진다’의 경상도식 발음으로, 아주 힘들거나 지쳐서 혓바닥이 나올 지경이라는 뜻이다. 사람 사는 세상에서도 삶의 기반이 불안정하면 허리가 꼬부라져도 평생 ‘쎄빠지게’ 일을 해야만 한다. 들풀 중에서도 시도 때도 없이 꽃을 피우는 ‘주름잎’은 사람으로 치자면 이런 고약한 팔자를 타고 났다. 그것은 언제 뽑히고 갈아엎어 질지 ..

붉은인동

별명 : Red Honeysuckle, Sempervirens, Trumpet Honey-Suckle, 붉은인동덩굴 원산지 : 교잡종(Hybrid) 분류 : 인동과 / 인동속 생장형태 : 인동속 꽃말 : 사랑의 인연, 헌신적 사랑 학명 : Lonicera × heckrottii Rehder 꽃 개화 시기는 6~7월이고, 붉은색의 꽃이 핀다. 꽃은 잎 달린 자리에 1~2송이씩 나온다. 한 꽃에 암술과 수술이 함께 나오며, 종 모양으로 끝이 5갈래로 갈라진다. 그중 4개는 서고 1개는 혓바닥처럼 아래로 쳐진다. 잎/줄기 키는 2~4m 정도이며, 줄기는 오른쪽으로 길게 뻗어 다린 물체를 감으며 올라간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긴타원형이다. 잎의 가장자리에는 잔 톱니가 있다. 외래종으로 화단과 정원에 심는다. 열..

노루발

학명 : Pyrola japonica Klenze ex Alef. 생물학적 분류 문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 :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목 : 진달래목(Ericales) 과 : 노루발과(Pyrolaceae) 속 : 노루발속(Pyrola) 개화기 : 6월~7월 꽃색 : 백색(연록색)형태 : 상록 다년생 초본 크기 : 높이 26cm 내외 분포 한국(제주도, 경상도, 충청북도, 강원도, 경기도 광릉, 전라남도 지리산, 완도, 울릉도, 전라북도, 덕유산), 중국, 일본 특징 세계에 약 25종, 한국에는 7종이 분포한다. 초본 식물로 가는 땅속줄기가 있고, 근생엽은 땅에  로제트형으로 퍼진다. 잎 잎은 1~8개가 밑부분에서 모여나기 하고 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길이 4~7c..

봄맞이꽃

봄맞이꽃 별명: Umbellate Rockjasmine, リュウキュウコザクラ, 点地梅, 봄마지꽃, 봄맞이꽃 원산지: 한국,중국,일본,러시아,인도,필리핀 분류: 앵초과 / 봄맞이꽃 속 생장형태: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꽃말: 봄맞이, 봄의 속삭임,희망 학명: Androsace umbellata (Lour.) Merr. 꽃은 4-5월에 피고 백색이며 화경은 높이 5-10cm로서 1-25개가 모여나기 하고 끝에 4-10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리며 포는 길이 4-7mm로서 달걀모양 또는 피침형이고 꽃자 루는 길이 1-4cm이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달걀모양이고 끝이 뾰족하 며 꽃이 진다음 커지고 꽃잎은 지름 4-5mm로서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긴 타원형이다. 꽃부리는 깔대기꼴로서 5개의 타..

유홍초[留紅草]

유홍초[留紅草] 요약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메꽃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 학명 : Quamoclit pennata 계 : 식물 문 : 속씨식물 강 : 쌍떡잎식물 목 : 통화식물목 원산지 : 남아메리카 크기 : 길이 1∼2m 길이 1∼2m이다. 덩굴이 왼쪽으로 감으면서 올라간다. 잎은 어긋나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빗살같이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은 줄 모양이다. 꽃은 7∼8월에 붉은색·흰색 등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자란 긴 꽃줄기 끝에 1∼2개가 달린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지고 갈래조각은 긴 타원형이다. 화관통은 길고 끝이 5개로 얕게 갈라져서 거의 수평으로 퍼지며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는 삭과(蒴果)로서 달걀 모양이며 10월에 익는데, 꽃받침 안에 들어 있다. 종자는 줄 모양이며 길다...

옥잠화(玉簪花)'조용한 사랑의 추억'

학명은 Hosta plantaginea,속씨식물, 백합목으로 중국이 원산지인 옥잠화의 개화된 모습을 보려면 밤 9시 이후부터 새벽 6시에 개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 후의 시간에도 간혹 개화된 꽃이 있으나 보기 드뭅니다. 향기는 고급 향수를 뿌리고 기다리고 있는 듯 기분이 좋아집니다. 그래서 나는 옥잠화 개화 모습을 보려고 해마다 8월 중순 밤에 가던가 아니면 새벽에 찾아가곤 합니다. 캄캄한 밤에도 초록 바탕에 백옥같이 하얀 꽃은 어두운 밤을 밝힐 정도로 청아하다. 이 옥잠화는 낮에 바쁘신 분들을 위하여 윤기나는 초록 잎에서 비녀 같은 꽃봉오리가 해님이 서산 넘어 모습을 감추면 통통하게 부풀어 오르다 달님이 오실 때쯤 문을 활짝 열어 고운 향기로 맞이하는 고고한 꽃입니다. 그러니까 퇴근하여 귀가 후..

비비추(호스타)

비비추 요약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Hosta longipes 계 : 식물 문 : 속씨식물 강 : 외떡잎식물 목 : 백합목 분포지역 : 한국·일본·중국 서식장소/자생지 : 산지의 냇가 크기 : 높이 30∼40cm 꽃말 : 신비한 사랑, 좋은 소식 산지의 냇가나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잘 자란다. 높이 30∼40cm이다. 잎은 모두 뿌리에서 돋아서 비스듬히 자란다. 잎은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8∼9맥이 있다. 꽃은 연한 자줏빛으로 7∼8월에 피고 한쪽으로 치우쳐서 총상으로 달리며 꽃줄기는 길이 30∼40cm이다. 포는 얇은 막질이고 자줏빛이 도는 흰색이며 작은꽃자루의 길이와 거의 비슷하다. 화관은 끝이 6개로 갈라져서 갈래조각이 약간 뒤로 젖혀지고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길..

부레옥잠

별명 Water hyacinth, ホテイアオイ, 鳳眼蓝, 배옥잠, 봉안련, 풍옥란(북한), 흑옥잠 분류 물옥잠과 / 부레옥잠속 생장형태 : 한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 수생식물 꽃말 : 흔들리는 마음, 흔들린 기억, 사랑의 슬픔,사랑의 기쁨,호의 학명 : Eichhornia crassipes (Mart.) Solms 일반 정보 꽃 : 꽃은 8∼9월에 이삭모양으로 달리고, 밑부분은 통으로 되며, 윗부분이 깔때기처럼 퍼진다. 6개의 갈래조각 중에서 위의 것이 가장 크고, 연한 보랏빛 바탕에 촛불 모양의 황색 점이 있다. 6개의 수술 중 3개가 길고 수술대에 털이 있으며 암술대는 실처럼 길다. 꽃은 하루만 피었다가 시드는 1일화 이다. 잎/줄기 잎은 달걀 모양의 원형으로 많으며, 밝은 녹색에 털이 없고 윤기가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