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문형산

푸르미르(청룡) 2016. 1. 27. 22:29


문형산(文衡山) 496.7m

 

문형산(文衡山)

 

경기도 성남시와 경기도 광주시 사이에 있는 높이 496.7m의 산이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와 광주시 오포읍의 경계로 산세를 이루고 있다. 해발고도 496.7m로 그리 높지 않은 산이다.

 

산줄기의 서쪽으로 새나리 고개가 위치하며 이 고개의 북쪽으로는 고든골고개, 갈마치고개를 지나 같은 광주산맥에 속하는 검단산과 남한산맥으로 분류되는 남한산과 청량산의 남한산성 성역(城域)으로 이어지며, 남쪽으로는 일명' 맹산'이라 부르면서 큰 매지봉, 작은 매지봉으로 나뉘어 부르는 영장산(靈長山)으로 이어져서 새마을고개와 태현을 지나 불곡산으로 넘어 간다.

 

 

문형산의 동쪽으로는 두리봉(해발고도 277.3m)이 위치하고 있으며 봉정상에서 바라보면 팔당호로 연계되는 경안천 유역이 분지같은 산세를 이루고 있다. 문형산은 광주시 오포읍쪽으로 조금 치우쳐 있는 산이다.

 

문형산 가는길

장지 ic에서 용인,수원방향으로 2.8km 진행 고산ic에서 포은대로 오포,분당,(수원)방면으로우측 4.2km진행 노동교육원입구 봉골길 고용노동연수원(한국기술교육대학교)방면으로 우측도로로 2.2km를 들어가면 우측에 용화선원이 있고 좌측에는 고용노동연수원입구다. 옆에 주차장있다..


仁者樂山, 智者樂水 라 했던가! [仁者樂山 인자요산] 인자(仁慈)는 의리(義理)에 만족(滿足)하며 생각이 깊고 행동(行動)이 신중(愼重)함이 산과 같으므로 자연(自然)히 산을 좋아함.

 

[智者樂水 지자요수] 

사리(事理)에 밝은 사람은 사리(事理)에 통달(通達)하여 정체(停滯)함이 없는 것이 마치 물이 자유(自由)로이 흐르는 것과 같으므로 물을 좋아함

 

높은 산이든 낮은 산이든, 주어진 자리에서 산이 사람들에게 많은 것을 베풀고 있음을 다시 한번 느낍니다.. 이곳에 주차를 하고 계곡 쪽으로 등산로가 잘 돼 있다..

 

등산이라기 보다 산책길 친지나 연인 가족끼리 가볍게 등산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그러나 정상에서 강남 300cc 방향으로 가게 되면 영장산과 불곡산 갈마치로 이배재를 지나 남한산까지 얼마든지 연장을 할 수 있는 곳이 기도하다..

 


전해오는 이야기

옛날에 이 일대에 홍수가 났는데 이 지역의 모두가 물에 잠겼어도 어떤 조화인지 문형산의 정상만 잠기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산세가 그리 넓지 못하여 무명 한 필을 겨우 말릴 정도라 하여 무명산이라 불렀다고 전해진다.

 

무명은 목화(木花) 열매에서 나오는 무명실로 짠 피륙을 말한다. 일명 면포(綿布)·면·목면·목면포(木綿布)·백목(白木)이라고도 한다. 한자로 문형(文衡)이란 조선시대의 대제학(大提學)을 달리 이르는 말로 대제학 같은 선비가 이곳에서 많이 배출되기를 바라는 뜻에서 동네의 유지들이 모여지었다고 전해진다.

 

龍華禪院(용화선원)

선(禪)을 교육하고 실수(實修)하는 불교의 전문교육기관.


내용 : 우리 나라의 선원은 통일신라 말에 선종(禪宗)이 전래된 이후 설치되어, 승려 양성에 중요한 수행기관으로서 큰 구실을 하여 왔다. 사찰 내에서는 선당(禪堂)·선방(禪房)·좌선당(坐禪堂)이라고도 한다.


그 유래는 석가모니 당시의 비구(比丘)들이 우기(雨期) 이외에는 한 곳에 살지 않고 탁발(托鉢)을 계속하다가, 우기가 되면 작은 벌레나 초목들을 밟아 상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외출을 금하고 한 곳에 머물며 안거(安居)한 것에서 연유한다. 당시에는 4월 15일부터 7월 15일까지 3개월 동안에는 좌선(坐禪)을 하거나 교리(敎理)를 연구하게 되어 있었다.

 

그 뒤의 부파불교 및 중국불교에서는 불교 교단이 일정한 사원과 토지 등을 소유하고 그 재산으로 생활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탁발을 꼭 하지 않아도 되었고, 연중 사원에 상주하며 선(禪)과 경론(經論) 등을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10월 16일부터 이듬해 정월 15일까지 한 차례 더 동안거(冬安居)를 실시하게 되었다.


이 안거의 전통을 선종에서 이어받아 선원은 중요한 수행기관으로서의 구실을 하게 되었다. 우리 나라에서도 신라 말에 선종이 생겨남과 동시에 전국에 수많은 선원이 세워졌고, 여름과 겨울의 안거를 인정하여 실시하되 하안거(夏安居)를 정법(正法)이라 하여 승려의 나이를 뜻하는 법랍(法臘)은 이로써만 인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다.


선원의 교육목표는 불교의 진리를 좌선을 통해서 내관(內觀)하고 스스로 살펴 자기의 심성(心性)을 철견(徹見)함으로써 자증삼매(自證三昧)의 묘한 경지를 체달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하며 중생제도를 하는 데 있다. 따라서 일정한 교육기간이 정해져 있는 강원(講院)과는 달리 선원은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의의가 더 컸다.


더욱이 고려 중기 보조국사(普照國師)지눌(知訥)이 수선사(修禪社)를 세우고 정혜쌍수(定慧雙修)의 학설을 주장한 이래, 조선 중기에 이르러서 강원은 선원의 예비문으로서의 구실을 하게 되어 강원수료자가 선원에 들어가 평생수행을 하기도 했다.


이 당시 선원에 들어갈 수 있는 자격은 강원의 사교과(四敎科)와 대교과(大敎科)를 수료하여 비구계(比丘戒)를 받은 20세 이상이 된 자에게 부여되었다. 그리고 하안거는 4월 15일에 시작하여 7월 15일에 끝내고, 동안거는 10월 15일에 시작하여 1월 15일에 끝나도록 하였다.

 

그리고 결제안거(結制安居) 90일을 법랍 1세로 하고, 법랍은 하안거의 수에 의하여 계산하도록 하되, 다만 본사(本寺)의 허락을 얻으면 동안거도 법랍에 가산할 수가 있었다. 선원의 조직은 강원의 조직과 거의 같다. 선원은 방장(方丈) 또는 조실(祖室)의 지휘 아래 운영되었는데, 그 아래 책임자로서 선주(禪主)를 둔다. 이 선주는 선덕(禪德) 또는 수좌(首座)라고도 하며, 방장이 겸하는 경우도 있다.


선주 밑에는 내호법반(內護法班)으로 입승(立繩)·유나(維那)·시불(侍佛)·병법(秉法)·헌식(獻食)·사찰(司察)·시경(時警)·시자(侍者)·간병(看病)·지객(知客)·정통(淨桶)·정두(淨頭)·삭두(削頭)·마호(磨糊)·종두(鐘頭)·봉다(奉茶)를 두고, 외호법반(外護法班)으로는 원주(院主)·별좌(別座)·미감(米監)·서기(書記)·원두(園頭)·채공(菜供)·공사(供司)·부목(負木) 등을 두었다.


특수조직으로는 조실·열중(悅衆)·선백(禪伯)·지전(知殿)·지객·원두·간병·반두(飯頭)·정인(淨人)·서기·전다(煎茶)·채두(菜頭)·자두(紫頭)·별좌·도감(都監)·원주·화주(化主) 등을 둔다. 이들 중 중요 직책의 임무를 간추려 보면 선주는 정법을 거양(擧揚)하며 선원의 모든 일을 지휘한다. 수좌는 선주를 보좌하고 참선과 염불을 지도하며 선주가 출타할 때에는 이를 대리한다.


입승은 선중(禪衆)을 통괄하고 유나는 내외호법원(內外護法員)을 돕고 사중(寺中)의 일체 집무를 사찰한다. 시불은 법요(法要)를 집행하고, 병법은 불공과 시식(施食)을 담당하며, 사찰은 5일간씩 윤번제로 하여 묵언규칙(默言規則)을 엄히 준수한다. 시경은 일정한 시간마다 고성으로 때를 알리고 대중의 도심(道心)을 견고하게 하는 임무를 담당한다.


선원에서의 하루 수행시간은 8시간 이상으로 하는 것이 원칙으로 되어 있다. <조선승려수선제요 朝鮮僧侶修禪提要>에 의하면 해인사 퇴설당(堆雪堂) 선원은 하안거 때 8시간, 동안거 때 11시간, 월정사 및 범어사의 선원은 하안거·동안거 모두 10시간씩, 대원사(大源寺)는 8시간, 파계사(把溪寺)는 6시간으로 되어 있다.

 

수행방법은 ‘자선자수(自禪自修)·자력자식(自力自食)’을 기본으로 하며, 안거는 좌선을 위주로 하되 선리(禪理)를 연구하고 대소승률(大小乘律)을 가르치기도 하였다. 또한, 선원수행의 습독서(習讀書)로는 ≪금강경≫·≪능엄경 楞嚴經≫·≪선요 禪要≫·≪절요 節要≫·≪도서 都序≫·≪서장 書狀≫·≪치문 緇門≫·≪자경문 自警文≫·≪초심 初心≫·≪염송 拈頌≫ 등이 채택되었고, 권장 경전으로는 ≪화엄경≫·≪원각경 圓覺經≫·≪법화경≫·≪기신론 起信論≫ 등을 배우기도 하였다.


또한, 조실의 설법 중에는 일체의 질문이 허락되지 않았으며, 의심이 있을 때는 설법이 끝난 뒤 방장실(方丈室)에 들어가 질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선원의 청규(淸規)는 엄하여 파계(破戒)·사행(邪行) 등 모든 폐습이 일체 엄금된다. 안거기간 중에는 일체 동구(洞口)에 나갈 수 없으며, 오직 부모나 스승의 중병이나 사망시, 그 밖의 부득이한 일이 있을 때만 조실의 허락을 얻어 외출할 수 있다.


만약 선원 자체에서 정한 규칙을 준수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세 차례 권유하고 이에 불응하면 퇴방시키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또한 결제의 시작 7일, 해제 직전의 7일, 결제와 해제의 중간인 반산림(半山林) 때의 7일 동안은 전혀 잠을 자지 않고 용맹정진하며, 매월 1일과 15일에는 조실이 상당(上堂)하여 설법을 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통은 현재에도 거의 그대로 준수되고 있으나, 옛날처럼 강원의 대교과를 마친 뒤 선원에 들어가는 전통은 현재 거의 지켜지지 않고 있다. 그리하여 강원의 모든 과정을 마치고 선원에 들어가서 20하안거를 수행하고 법랍이 20년 이상 되어야만 얻을 수 있던 대선사(大禪師)·대교사(大敎師)의 당호(堂號)나 10년의 법랍이 있어야만 될 수 있는 주지의 자격은 현재 지켜지지 않고 있다.


현존하는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선원은 해인사·범어사·통도사·통도사 극락암·봉암사(鳳巖寺)·송광사·망월사·상원사(上院寺)·내원사·석남사(石南寺)·대원사 등에 있으며, 이곳에서 공부하는 수행승들에 의하여 우리 나라 불교의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 또한, 그 정진의 기강이나 노력, 시간 등이 세계 어느 곳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참다운 불교수행처가 되고 있는 곳이 우리 나라의 선원이기도 하다.

 

출처 : 두산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오늘 날씨가 추워서인지 사람이 보이지를 안네! 영하 20도가 넘는 것 같다.. 용화선사 앞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간이 회장실도 있으니 용무를 보고 출발하시면... 

 

등산을 한다기 보다  가볍게 몸을 푼다고 생각하고 가족 산행이 어울리는 산이지요~ 그러나 더 길게 하려면 강남 300CC를 경유 불곡산이나  영장산과 갈마치, 이배재를 지나 검단산 남한산성까지 간다면 問題는 달라집니다..

 

 

 

 

 

 

 

 

 

 

 

 

 

 

 

 

 

산에 오르니까 얼마나 따듯한지 추위는 싹~~~

 

 

 

 

 

 

 

 

 

 

 

 

 

이 아주머니도 등산을 엄청 좋아하는가보다! 아니면 00녀!

 

 

 

 

 

ㅋㅋ미친 놈 따라온 兄嫂님도 오기를 잘 했다기는 하지만...

 

 

형수님 죄송 해유~~~

 

 

 

 

 

 

 

 

 

 

 

 

 

 

 

 

 

 

 

 

 

 

 

 

 

 

 

강님300cc

 

 

 

 

 

 

 

오늘 전망은 끝내 줍니다 잠실 롯데월드도 보입니다

 

 

 

멀리 제2롯데월드가 보인다 강님 300CC를 지나 영장산 시계능선이...

 

 

 

 

 

 

 

 

 

 

 

 

 

 

 

 

 

 

 

 

 

 

 

 

 

맛있는 송어회도 형수님이 사 주셔서 잘 먹었습니다~

내가 사드려야 되는데 형수님이 잽싸게 계산을... ㅎㅎㅎ